안락한 중산층 가정에서 자란 퍼트리샤 크런빙컬에 대해 이웃 사람들은 ‘아주 순종적'이고 ‘평범한 아이'라고 묘사했다. 하지만 언니와 함께 지내기 위해 캘리포니아주로 간 그녀의 삶은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크런빙컬은 집을 떠나 공동체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마약은 일상의 오락이었고 관습적 사회는 경멸의 대상이었다. 그녀는 새로 사귄 친구들과 함께 매우 충격적인 사건에 가담한다. 그 사건은 1969년 8월 무더운 여름밤에 일어났다. 크런빙컬과 세 친구들은 부유한 지역에 어느 집에 들어갔다. 크런빙컬과 친구들은 미리 짜둔 끔찍한 계획에 따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을 의식이리도 치르듯 잔인하게 살해했다. 크런빙컬과 동행한 사람 중 찰스 왓슨은 ‘난폭하지 않고 평범한 아이', ‘좋은 녀석'이라고 평가받았다. 하지만 수전 앳킷스는 문제가 많아보였다.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유흥업소에서 반나체로 춤추는 댄서이자 매춘부가 되었다. 그리고 살해 현장까지 차를 운전한 린다 카사비안은 배경에 문제가 많았지만 살인에 가담하기를 거부하고 집 밖에 있었다. 비명을 듣고 달려간 카사비안은 친구들에게 그만두라고 부탁했지만 이미 때는 늦은 뒤였다. 다음 날 밤 그 무리는 다시 부유한 이웃집에 쳐들어가 전혀 모르는 두 사람을 살해했다. 이번에는 우두머리인 찰스 맨슨과 지금까지도 악명 높은 ‘맨슨 패밀리'의 나머지 두 구성원이 합류했다.
공격성이란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회심리학자들은 공격성을 다른 사람을 해치려는 의도로 하는 행동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는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공격성은 ‘행동'이다. 찰스 맨슨의 추종자들 중 누구도 무분별한 살해를 할 때 피해자에게 분노의 감정을 느꼈다고 언급하지 않았다.
‘의도적'이거나 목적이 있는 행동이어야 한다. 사람들은 일부러 한 짓에 당했다고 생각하는지 어쩌다 실수로 그랬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자신이 입은 피해에 전혀 다르게 반응한다.
다른 사람을 ‘해치려는' 목적이 있는 행동이어야한다. 공격성은 강한 자기주장과 구분된다.
공격적 행동의 유형
직접적 | 간접적 | |
감정적 | 화난 운전자가 바짝 따라붙던 차의 운전자와 주먹다짐을 한다. | 짜증 난 세입자가 밤을 틈타 집주인의 자동차 타이어 바람을 뺀다. |
도구적 | 은행 강도가 저지하려는 보안 요원을 총으로 쏜다. | 어떤 남성과 사귀고 싶은 나머지 여동생을 시켜 그의 여자 친구가 바람을 피운다는 악의적 소문 퍼뜨린다. |
짜증에 대응하기
맨슨 패밀리는 정말 빈곤한 생활을 했다. 맨슨은 부유한 음반 제작자인 테리 멜처가 자신과 음반 계약을 하리라고 믿었다. 하지만 멜처가 멘슨의 음반을 받지않자 맨슨 패밀리는 다시 매우 가난한 신세가 되었다. 이런 사건들은 살인의 단서가 된다. 처음 살인을 저질렀을 때 맨슨 패밀리가 아무 집에나 들어간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사실 그곳은 테리 멜처의 집이었다.
사람들은 짜증이 나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꾼다. 불쾌한 상황은 복잡하게 연결된 내적 과정을 일으킨다. 이 과정의 첫 단계는 불쾌한 사건으로 부정적 감정이 유발되는 것이다. 부정적 감정이나 생각이 발생하면 그와 관련된 일련의 부정적 기억, 감정, 행동이 활성화된다. 우리가 어떤 사람 때문에 부정적 감정을 느낀 경우, 그 적개심을 표출할 구실을 두 번째 사람에게서 찾거나 첫 번째 사람과 무엇이든 비슷한 점을 발견해 적개심의 방향을 두 번째 사람에게 옮기기 쉽다.
물질적 • 사회적 보상 추구
사회적 학습 이론에 따르면 공격적 행동은 공격성에 대한 보상 때문에 발생한다. 공격성에 대한 보상은 직접적으로 주어지기도 하고 간접적으로 주어지기도 한다. 다른 사람이 공격성을 표출한 대가로 보상받는 모습을 보면서 공격성을 좋은 행동으로 여기게 된다. 개인적으로 자존심이 뭉개지는 경험에는 공격성을 유발하는 강력한 힘이 있다. 그리하여 공격성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서도 이 힘을 이용해왔다. 현실에서도 우리가 사람을 죽이는 상상을 하는 경우는 다른 사람에게 어떤 식으로든 모욕을 당했기 때문일 때가 많다.
일반적으로 낮은 자존감이 공격성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기 쉽다. 거부당하는 느낌이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도 많았지만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만성적으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우리가 가장 조심해야 하는 사람은 자신에게 만족하거나 남들에게 존경 받는 사람이 아니다. 그보다 자신을 지나치게 과장된 시선으로 보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충분히 존경해주지 않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가장 위험하다.
자신과 타인을 지키는 법
공격성이 정당화될 수 있는 이유로 ‘자기방어'와 ‘타인보호'를 뽑을 수 있다. 물론 모든 사람이 폭력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공격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자기방어적 공격성을 비교적 쉽게 드러내는 사람도 있고, 방어적 감정을 폭력성으로 변하게 하는 상황도 있다.
사회적 상황 | 반응 | |||
정보처리 순서 | 예 | 방어적인 아이 | 방어적이지 않은 아이 | |
1단계 | 위협을 탐색한다. | 누군가가 나를 어떤식으로든 위협하고 있는가? | 다른 아이가 자신에게 부딪치면 더 잘 알아차린다. | 다른 아이가 게임하다가 자신과 부딪쳐도 알아차릴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 |
2단계 | 단서를 해석한다. | 저 아이는 왜 나에게 부딪쳤을까? | 부딪친 이유가 확실치 않을 때 자신을 밀치려는 시도였다고 해석하기 쉽다. | 부딪친 이유가 확실하지 않으면 그저 우연한 일로 해석하기 쉽다. |
3단계 | 반응 방식을 고려한다. | 저 아이가 자꾸 나에게 부딪히면 어떻게 해야할까? | 때리거나 어떤 방법으로든 복수하는 등 공격적 해결책을 생각하기 쉽다. | 농담을 던지는 것처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쉽다. |
4단계 | 반응을 선택한다. | 어느 쪽이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일까? | 평화적 반응을 제외할 가능성이 높다. | 공격적 반응이 떠올라도 선택지에서 제외할 가능성이 높다. |
5단계 | 반응을 실행한다. | 결정을 어떤식으로 실행할까? | 공격적 방법을 실행하는데 더 능숙하다. | 평화적 방법을 실행하는데 더 능숙하다. |